-
JDBC란 ?
자바언어와 Database가 서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JDBC의 경우 순서가 있다
1. 로딩 , 2. 연결, 3.SQL쿼리문 4. 자원해제가 그 순서 단계이다.
예시문을 만들어보자
예외가 발생할 수 있기에 try-catch-finally문을 사용한다.
private String driver
private String url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String usepw
로 필드를 만들고
private Connection conn = null;
private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private ResultSet rs = null;
으로 sql 쿼리문에서 사용할 객체들을 null 값으로 초기화한다.
try{
class.forName(driver); 를 입력하여 로딩을 구현한다.
conn = DriverManaget.getConnection(url, userid, userpw);
String sql = "INSERT INTO customer (memId, memPw, memMail) values(?,?,?)";
pstmt.setString(1, customer.getMemId());
pstmt.setString(2, customer.getMemPw());
pstmt.setString(3, customer.getMemMail());
result = pstmt.executeUpdate();
} catch(ClassNotFound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catch (SQLException e){
e.printStackTrace();
}finally{
try{
if(pstmt != null) pstmt.close();
if(conn != null) conn.close();
}catch (SQL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JSP&스프링 > 스프링 키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커넥션풀의 정의와 ComboPooledDataSource 특징 정리하기 (0) 2023.02.01 [스프링] 리다이렉트 & 인터셉트의 정의와 예시문 만들기 (0) 2023.01.31 [스프링]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관계에서 쿠키와 세션의 정의와 쿠키와 세션에 관련된 어노테이션 예시문으로 정리하기 (0) 2023.01.30 [스프링] Controller 객체를 만들고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구현하는 방법 (0) 2023.01.30 [스프링] Service 와 DAO 객체를 만들고 어노테이션으로 사용해보는 예시문 만들기 (0) 2023.01.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