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에서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new 생성자를 사용해서 만드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 중 Service 객체와 DAO 객체는 Client와 DB 연결에서 중요한 객체 요소들이다.
Service나 DAO 객체를 생성할 때 일단 익숙해져야하는 어노테이션의 경우에는
@Service
service에 해당하는 java파일에 @Service를 붙여주면 xml 파일에서 bean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만들 수 있다.
@Component, @Repository, @Resource도 있다.
Service나 DAO 등에서 자동 생성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할 때는 @Autowired를 입력해야한다.
우선, Service객체를 만드는 경우
CustomerService service = new CustomerService();
처럼이다.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새롭게 객체를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bean:bean id="service" class="com.bs.lec17.memver.service.MemberService"></beans:bean>
스프링 컨테이너에서의 객체를
@Autowired로 불러와서
CustomerService service;
로 bean객체를 마찬가지로 service객체로 갖고 올 수 있다.
또한 아예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를 자동 주입할 수 있다.
@Repository("memService")
public class CustomerService implements ACustomerService{
로 작성해서
@Resource(name="memService")
CustomerService service;
}
로도 불러 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value 값을 그대로 쓰거나해서 특정 이름값을 지정할 수 있다.
DAO객체의 경우에도
@Repository
public class CustomerDao implements ACustomerDao{
에서
@Autowired
CustomerDao dao;
}
로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DAO 객체를 생성하면서 의존 객체 자동 주입을 할 수 있다.
'JSP&스프링 > 스프링 키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관계에서 쿠키와 세션의 정의와 쿠키와 세션에 관련된 어노테이션 예시문으로 정리하기 (0) 2023.01.30 [스프링] Controller 객체를 만들고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구현하는 방법 (0) 2023.01.30 [스프링] Controller와 view를 사용하여 로그인 key- value 값 연동하는 연습문 만들기 (0) 2023.01.29 [스프링] 스프링 MVC의 정의와 순서 그리고 Controller와 view의 설정 방식 정리하기 (0) 2023.01.29 [스프링] @Configuration & @Bean 애노테이션의 정의와 예시문 정리하기 (0) 2023.0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