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자료형과 참조객체자료형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하자.
기본 자료형은 데이터 공간에 변수를 직접 저장하고, 참조 객체 자료형은 변수의 자리에 객체 메모리 주소를 연결하여 변수에 저장한다.
변수에 저장하는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의 종류를 살펴보면,
기본 자료형은 정수형과 실수형, 논리형으로 나뉜다.
(1바이트는 8비트이다.)
정수형은
byte = 1byte
char = 2byte
short = 2byte
int = 4byte
long = 8byte
실수형은
float = 4byte
double = 8byte
논리형은
boolean = 1byte의 데이터 공간을 갖는다.
참조 객체 자료형은 JDK에서 제공하거나 개발자가 직접 만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string이 있다.
처음부터 자료형을 선언할 때 데이터 공간에 맞게 자료형을 선언하는 경우가 많지만
형변환을 통해서도 표현이 가능하다.
묵시적형변환과 명시적형변환 2가지가 있는데,
묵시적 형변환의 경우에는 작은 공간의 메모리에서 큰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로 바꿔줄 것은 없고 자동적으로 변환된다.
명시적 형변환의 경우 큰 공간의 메모리에서 작은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할 때 ()괄호 안에 해당 작은 자료형을 적어서 변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명시적 형 변환의 경우 데이터가 큰 공간에서 작은 공간으로 가기 때문에 데이터가 누실될 수 있다.
int avar = 2000;
byte bvar = (byte)avar;로 괄호로 표현할 수 있다.
'자바 > 자바 키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실시간 서버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특수문자&서식문자 (0) 2022.11.03 [자바] 자바에서의 변수와 변수 값의 메모리 할당 공간 개념 정리하기 (0) 2022.11.03 [자바] ArrayList로 배열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갖고 오고 해당되는 요소를 삭제하는 코드 연습하기 (0) 2022.10.21 [자바] 기본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의 정의와 특징 정리하기 (0) 2022.10.12 [자바] 메서드 오버라이딩 예시문 연습하기 (0) 2022.09.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