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join() => 배열 객체의 데이터를 연결 문자 기준으로 1개의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한다
특히 join(" ") 안에 큰따옴표의 여백 띄워쓰기를 주의해야한다.
2.reverse() 데이터 순서를 거꾸로 바꾼 후 반환한다 .
3. sort()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sort()메서드와 compare(a,b) 메서드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것 구분해서 생각하기
4.slice(index1, index2) => 데이터 중 원하는 인덱스 구간만큼 자르고 나머지의 배열 객체를 출력한다.
5.concat() 2개의 배열 객체를 한 개로 합친다.
6. pop() 배열에 있는 데이터 중에서 마지막 인덱스 데이터 삭제. 뒤팝!
7.push(new data) 마지막 인덱스에 새 데이터를 삽입한다 . 뒤에서 푸쉬한다! 이렇게 기억해라
예를 들어서 arr.push() 이런식으로 배열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겠지?
8.shift() 첫 번째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shift라는 뜻이 바꾸다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첫 번째 데이터 삭제를 연관지어 이해해라.
9. unshift() 객체의 가장 앞에 새 인텍스 삽입.
10.length()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수를 출력한다 .
for문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arr.length()로 arr[0]부터 console.log로 출력할 수 있던 예를 생각해라.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Jquery 키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단락회로평가에 대한 예시 만들기 연습 (0) 2022.08.13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 데이터 방식 JSON (0) 2022.08.12 [자바스크립트] form태그의 요소에 접근하고 아이디 비밀번호의 개수를 설정하는 방법 (0) 2022.08.08 [자바스크립트] DOM요소에 노드 추가하고 삭제하기 (0) 2022.08.07 [자바스크립트] DOM객체에서 addEventListener 이벤트 처리기 함수 적용하기 (0) 2022.08.07 댓글